강아지·고양이 예방접종 완전 정복 가이드
2025.05.05
“언제 무슨 백신을 맞아야 하나요?”
예방접종은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, 반려동물의 건강과 생명을 위한 필수 관리입니다. 시기를 놓치면 바이러스 감염률이 높아지고, 치료가 어렵고 고통스러울 수 있어요. 이 가이드는 초보 보호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정리했어요.
🐶 강아지 예방접종 스케줄
강아지는 생후 6주부터 접종이 필요해요. 표준 예방접종 루틴은 아래와 같아요.
- 6~8주: 종합백신 1차 (DHPPL) + 코로나 장염 1차 (선택)
- 8~10주: 종합백신 2차 + 켄넬코프 1차 (선택)
- 10~12주: 종합백신 3차
- 12~16주: 광견병 백신 (법적 의무)
- 1년마다: 종합백신 + 광견병 추가접종
DHPPL이란? 디스템퍼, 전염성 간염, 파보바이러스, 파라인플루엔자, 렙토스피라를 예방하는 5종 혼합백신이에요.
켄넬코프는 강아지 전염성 기관지염을 예방해주는 백신입니다.
비용 정보 (2024년 기준):
- 종합백신(DHPPL): 1회 25,000 ~ 40,000원
- 광견병 백신: 10,000 ~ 20,000원
※ 일부 지자체에서 연 1회 한정 무료 접종 캠페인 시행
- 켄넬코프/코로나 장염 백신: 15,000 ~ 30,000원 (선택)
- 총 연간 예방접종 비용: 평균 10만 ~ 20만 원
🐱 고양이 예방접종 스케줄
고양이도 생후 6~8주부터 접종이 필요하며, 아래와 같은 루틴을 권장해요.
- 6~8주: 종합백신 1차 (FVRCP)
- 8~10주: 종합백신 2차
- 10~12주: 종합백신 3차 + 백혈병(FeLV) 백신 (선택)
- 12~16주: 광견병 백신 (지역에 따라 권장 또는 필수)
- 1년마다: 종합백신 + 선택적 백혈병·광견병 재접종
FVRCP이란? 고양이 전염성 바이러스 3종 (범백혈구감소증, 허피스, 칼리시)을 예방하는 혼합백신이에요.
FeLV: 고양이 백혈병을 예방하는 백신으로, 외부 출입 고양이에게 권장돼요.
비용 정보 (2024년 기준):
- FVRCP 종합백신: 1회 30,000 ~ 50,000원
- FeLV 백신: 1회 30,000 ~ 50,000원 (2회 접종)
- 광견병 백신: 10,000 ~ 20,000원
- 총 연간 예방접종 비용: 평균 15만 ~ 25만 원
⚠️ 예방접종 시 꼭 알아야 할 사항
- 접종 당일과 다음 날은 목욕 금지, 격한 운동 자제
- 접종 후 일시적 식욕 저하·부기·미열 가능 → 48시간 이상 지속 시 병원 내원
- 질병 증상이 있을 때는 접종을 미루고 건강 회복 후 진행
- 접종 누락 시 동물등록, 호텔, 미용, 입양 등에 제한될 수 있어요
예방접종은 생명에 대한 존중의 시작입니다.
우리 아이가 아프지 않고 오래 함께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보호자의 역할이에요. 한 번의 예방이 열 번의 치료보다 낫다는 말, 반려동물에게도 꼭 적용돼요.
💡 퍼피링크 FAQ
- Q. 유기동물을 입양했는데 접종 이력이 없어요
→ 동물병원에서 항체 검사 또는 1차 접종부터 새롭게 루틴 시작 권장
- Q. 알러지 반응이 걱정돼요
→ 백신 제조사·종류 변경 가능하며, 수의사 상담 통해 저반응 백신 사용 가능
- Q. 광견병 접종은 꼭 해야 하나요?
→ 법적 의무 사항입니다 (동물보호법 제47조). 접종 미이행 시 과태료 100만 원 이하 부과될 수 있어요
- Q. 보건소에서 접종 가능한가요?
→ 대부분 지자체는 연 1회, 광견병 예방접종 무료 캠페인을 시행하니 관할 시군구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
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? 퍼피링크는 입양 이후에도 책임있는 보호를 응원합니다.
퍼피링크에서 입양 준비 시작하기 →